DVS Online X TISTORY

남아메리카에 '베네수엘라'라는 나라가 있습니다. 이 나라는 풍부한 석유 매장량을 가지고 있고, 미인 대회 7회 우승을 기록한 '미의 나라'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빈부격차가 극심한 나라이기도 하지요. (2020년 현재도 베네수엘라의 빈부격차는 심한 편에 속합니다.)

그런데 1998년 베네수엘라에서 급진주의 정당 '제5 공화국 운동당'의 차베스 후보가 당선됩니다. 비록 차베스는 독재적인 통치 스타일로 미국을 비롯한 해외는 물론 베네수엘라 내에서도 비판을 받아왔지만, 실업률을 18%에서 13%로, 유아사망률을 21%에서 17%로 낮추었고, 탈세에 있어 강력한 규제를 적용해 정부 재정건전성을 증대시켰으며, 베네수엘라인의 절대다수(70%)를 차지하는 빈곤층 자녀에 대한 무상 교육•무상의료•무상보육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헌법 읽기'를 생활화하는 등의 긍정적인 '공'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개혁들이 베네수엘라에 뿌리깊게 박힌 부르주아민주주의-금권정 자본주의 전통을 완전히 타파하지는 못했습니다. 차베스도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의 한계를 드러냈고, 베네수엘라에 자본주의[즉 금권주의] 전통이 아직도 남아있다고 인정했을 정도로, 베네수엘라는 여전히 자본주의, 부르주아민주주의 금권정 국가입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언론들은 그를 반기지 않았습니다. 그가 오면 그동안 누려왔던 자신들의 특권과 기득권이 단숨에 무너질 거라고 우려했지요. 그와 대립각을 세웠던 특권언론들 - 정확히는 거대 신문사들(El Universal, El Nacional, El Mundo)과 거대 방송사들(RCTV, Venevisión, Televen, Globovisión)은 모두 토착 민간 독점자본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베네수엘라는 타 남미 국가(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와 마찬가지로 민영 상업언론들의 천국이라죠. 언론이 자본권력에 예속된 셈입니다.결국 그 '대다수 언론'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되찾고자 2002년 4월 11일, 군부와 미국의 집권 매파 세력(조지 W.부시)과 한패가 되어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 이 때 차베스는 쫓겨나고 외딴 섬으로 납치당했지요. 그러는 동안 '그 언론들'은 베네수엘라인들의 눈과 귀를 '겁주기 보도'로 계속해서 베네수엘라인들에게 불안감을 부추겼습니다. 하지만 이틀 뒤 언론들과 우익 군부 매파들의 실상이 해외언론과 베네수엘라 내의 '시민 매체'를 통해 낱낱이 밝혀지면서 쿠데타는 실패로 돌아가 대통령임을 자청했던 페드로 카르모나 베네수엘라상공회의 의장은 물러갔고, 차베스는 다시 권좌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도 한계가 있었는데, 차베스는 '그 언론들'에 대한 제대로 된 처벌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그가 제정했던 미디어 관련 법과 교육 또한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지요. 그러는 사이 베네수엘라 국민들은 자본주의 거대언론에 더욱 익숙해져 '그 언론들'을 소유한 부자들은 쿠데타 이후 더욱 더 '자본의 이익'에 복무했고, 오히려 이 때 광고수익을 짭짤하게 누리면서 계속 전성기를 누리게 됩니다. (뭐 이런 아이러니가 있나! 그 부자언론들 좀 강력하게 엄벌하셨어야죠...) 이후 '그 특권언론들'은 2013년 차베스가 사망한 뒤에도 계속해서 60년이 넘도록 베네수엘라의 특권 세력으로 군림하고 있지요.

 

이 사례에서 보듯 21세기에는 언론 스스로가 독점재벌 마피아들, 부패정치 마피아들과 함께 절대권력이 되어 사회를 어지럽히는 데 한몫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언론권력이 무서워졌다는 의미이지요.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언론권력의 힘에 대해 제대로 알고는 있는 걸까요? 아마 모를 겁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여기 나온 베네수엘라만 족벌언론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한 게 아닙니다. 서민을 위한 정부라는 김대중 정부도, 자칭 참여정부인 노무현 정부도, 촛불혁명을 강조하는 문재인 정부도, 조중동과 종편을 비롯한 족벌 찌라시 기레기언론을 강력하게 처벌하지 못했고, 그 언론들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족벌 찌라시 기레기언론의 스폰서인 거대 자본과 그들을 정치적으로 지원하는 자한당-우공당을 비롯한 국정농단 적폐들의 눈치를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래서 타락한 언론을 정화시키는 것이 참 중요합니다. 그런데 '언론개혁'이라는 구호만으로는 이루어 질 수 없지요. 시민들이 스스로 미디어를 만들고, 시민들이 거대 미디어를 감시할 줄 아는 능력도 기르고, 신문기사나 TV 프로그램의 내용 속 진실과 허위를 가릴 줄 아는 능력도 더욱 중요하답니다.

여러분은 '9월 11일'하면 무슨 사건이 떠오르십니까? 아마 대부분은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의 세계무역센터가 '알 카에다'라는 무장 테러집단에 의해 공격당한 '9.11 사태'를 떠오르실 겁니다.

그런데 9월 11일 사건은 2001년 9월 11일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미국 매파들과 다국적 기업들은 감추려 하지만, 미국과 다국적 기업도 중남미를 비롯한 제3세계 문제에 책임이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 있습니다. 바로 1973년 9월 11일, 칠레의 멀쩡했던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가 군부와 미국 매파 정권, 다국적 기업의 '협작' 쿠데타로 무너진 '칠레 쿠데타'입니다.

 

2004년 칠레에서 제작된 1973년 9월 11일 칠레 쿠데타를 다룬 영화의 한 장면

 

그렇다면 칠레 쿠데타가 어떤 경위로 일어났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때는 1969년(지금으로부터 50년 전) 사회민주주의, 중도좌파 성향의 소아과 의사 출신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Salvador Allende)가 칠레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합니다.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은 칠레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였던 아동 영양 실조를 해소하기 위해 분유를 무상으로 지급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매파 집권세력과 CIA(미국 중앙정보부) 그리고 다국적 기업 '네슬레'는 이를 탐탁치 않게 여겼고, 1971년 칠레 우유 농장을 거의 장악한 스위스 다국적 기업 네슬레 사는 칠레 정부와의 협력을 파기했습니다. 살바도르 아옌데 당시 칠레 대통령은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를 비롯한 미국의 매파들과 스위스의 네슬레(Nestle) 사를 비롯한 다국적 기업들에게 포위되어 힘을 못 쓰게 되었고, 결국 1973년 9월 11일, 미국 중앙정보부(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와 결탁한 칠레 군부가 대통령궁을 습격하게 되었고, 살바도르 아옌데는 대통령 자리에서 쫓겨나고 군부 대장 아우구스토 피노체트(Augusto Pinochet)가 칠레 대통령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후 칠레의 어린이들은 다시 영양실조에 시달리게 되었고, 칠레의 빈부격차는 극심해졌으며,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혼란기에 빠져들었고,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정부군에 의해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피노체트 군부독재 체제는 1989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이 역시 미국과 다국적 기업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지요. 미국 매파들과 다국적 기업이 자신들의 이익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멀쩡한 대통령을 쫓아내고, 자기들 편을 열심히 드는 군부독재자를 내세우다니, 뭐라 할 말이 없군요.

그나마 다행인 사실은 1990년 칠레에 민주정부가 다시 수립되면서,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안정을 되찾으면서, 부정부패 유산과 피노체트 군사독재 잔재를 청산하려는 노력이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어 다른 남미국가들과는 달리 미래가 밝다는 사실입니다. (사실 이 일은 칠레 민주정부에 앞서 미국과 다국적 기업들이 했어야 할 일입니다. 1973년 쿠데타로 세워진 칠레 군부정권의 핵심 주축이 그들이었기에.....)

 

이 사건이 일어난 지 46년이 지난 2019년 현재, 미국의 많은 정치인들은 공화당과 민주당을 떠나 1973년 9월 11일 발생했던 칠레 쿠데타에 대해 아는 사람이나 참회하는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이들 중에는 오히려 그게 잘 되었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국적 기업들은 칠레 쿠데타에 대해 제대로 사죄하지도 않았습니다. (네슬레는 46년 째 칠레 쿠데타에 대해 한 마디의 사죄나 반성을 보인 적도 없습니다. 네슬레 보이콧 하는 게 정답입니다.)

어쩌면, 미국 매파와 다국적 기업은, 가난한 사람들의 삶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자신들의 패권만을 챙기기 위해 그곳의 민주정부를 공격하는 비정한 모습을 보이는 집단이 아닌가 싶네요.